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셀프 등기 vs 법무사 등기 – 비용 차이와 선택 기준(인터넷등기소 활용 포함

by rava-auction note 2025. 10. 4.

 

 

 

셀프 등기와 법무사 등기 비용 비교, 인터넷등기소 온라인 신청 화면 예시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셀프 등기 vs 법무사 등기: 비용·절차 한눈에 비교

 

 

부동산 경매에서 낙찰 후 가장 먼저 마주하는 과정이 등기 이전입니다. 예전에는 법무사에 위임하는 게 일반적이었지만, 요즘은 비용 절감을 위해 셀프 등기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 이 글은 실제 견적 사례를 바탕으로 법무사 등기와 셀프 등기의 비용 차이, 장단점, 그리고 인터넷등기소(iros.go.kr)를 활용한 온라인 셀프 등기 방법까지 핵심을 정리합니다.


법무사 등기 비용 분석

  • 세금 항목(공통): 취득세·교육세·농어촌특별세는 누구나 동일하게 납부합니다.
  • 송달료(대행 시): 약 28만 원 수준. 직접 등기소에 방문해 접수하면 사실상 불필요합니다.
  • 촉탁 신청서 작성 수수료: 통상 20만 원 전후가 견적에 포함됩니다.
  • 법무사 보수·여비 등: 법정 보수 범위 + 여비/일당 등이 합산됩니다.

사례 기준으로 수수료와 부대비용까지 합치면 총액이 약 220만 원에 달했습니다(세금 포함).

 

셀프 등기 비용 분석

셀프 등기를 선택하면 위 세금 항목은 동일하지만, 송달료, 촉탁서 작성 대행비, 각종 대행 수수료가 사라집니다. 필요한 건 인지·증지 등 소액 실비뿐이라 총액이 크게 줄어듭니다.

사례 총액: 셀프 등기 약 150만 원 수준으로, 법무사 대비 70만 원+ 절감 효과가 있었습니다.

셀프 등기, 법원 방문 vs 인터넷등기소(온라인)

  1. 방문 접수: 관할 등기소에 직접 가서 접수(초보자에게는 절차 파악이 쉬움).
  2. 온라인 접수: 대한법원 인터넷등기소(iros.go.kr)에서 신청서 작성 → 서류 스캔 업로드 → 전자 납부 → 전자서명/접수. 공동인증서가 필요합니다.

두 방식의 선택 기준

  • 법무사 등기: 간편·안전, 그러나 비용이 높음. 대출(근저당 설정)이 있는 경우 은행 요구로 법무사 필수가 될 수 있습니다.
  • 셀프 등기: 번거롭지만 비용 절감 효과 큼. 절차 이해도 상승. 대출이 없을 때 특히 유리.

셀프 등기 준비 체크리스트

  • 매각허가결정 정본, 완납증명서, 주민등록초본
  • 부동산 등기부등본(토지/건물), 현장 관련 제증명
  • 등록면허세·취득세 전자 납부(위택스/지방세)
  • 인터넷 신청 시 스캔본(PDF) + 공동인증서

 

결론: 시간 vs 비용, 나에게 맞는 선택

법무사 등기는 편리하고 안전합니다. 반면 셀프 등기70만 원+의 절감 효과(사례 기준)가 있어 투자 수익률에 직접 기여합니다. 초보자라면 첫 건은 법무사로 전체 흐름을 파악하고, 이후부터는 인터넷등기소를 활용한 온라인 셀프 등기로 전환해 보는 전략을 추천합니다.

 

▸ 곧 연재될 글: 부동산 경매 낙찰 후 절차 7단계 · 입찰 전 꼭 확인할 3대 서류

 

※ 본 글은 실제 견적 사례와 직접 등기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상황에 따라 비용·절차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